▶ 목차 펼치기
집이 이사를 가게 되어서 보일러를 알아보던중 화목보일러를 알게 되었습니다. 전원주택에서는 사실, 화목보일러만한게 없다고 생각이 드는데요. 일단 그이유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전원주택에서 사용가능한 보일러 종류 알아보기
제일 중요한 여건이 난방비를 생각해서 보일러를 선택하실건데요. 난방비로 따지면 화목보일러만한게 없어 보입니다. 주위에 산이 있고 장작을 조달할 수 있는 환경이 되면 효율이 제일 좋을 것 같은데요. 물론 그에 따른 단점도 있습니다.
기름보일러는 사용하기 편하며 문제가 생겼을때 A/S 처리비용 및 유지비가 많이 들어서 전원주택에는 추천해드리고 싶지 않습니다. 다만, 다른 보일러 보조용으로는 좋을 것 같습니다.
현재 살고있는 주택에는 화목보일러와 기름보일러가 같이사용할 수 있게 되어있는데요. 말그대로 보조용이라 장작이 떨어졌거나 보일러가 동작을 안할경우 임시로 사용할 수가 있어서 난방걱정을 덜었습니다.
화목보일러의 경우 기름통자체가 큰 축열식과 기름통을 작게한 대신 효율을 높인 저당식이 있습니다.
나무보일러중에 펠렛보일러라는 것도 있는데요. 나무를 자른 톱발이나 폐목제로 만든 펠렛을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 입니다.
화목보일러, 화목난로 알아보기
화목보일러는 말 그대로 장작을 지펴서 온수를 데워 난방을 하는 형식인데요. 그에 따른 문제점이 바로 타고 남은 재의 처리 문재와 장작의 수급 문제입니다.
요즘은 예전처럼 장작만 먹는게 아니라 온도조절까지 따로 되기 때문에 장작효율이 상당히 좋아진 반면 재의 문제에서는 어떤 난로라도 벗어날 수 없습니다.
전원주택 실내에 넣는 화목난로도 마찬가지인데요. 화목난로는 실내에서 장작을 지펴야하는데 그에 따른 재 처리의 문제가 남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저탕식 화목보일러의 경우 온도가 빨리 올라가는 반면 장작을 자주 넣어주어야 되는 단점도 있습니다.
그리고 나무를 지필때 발생되는 연기가 무시를 못하는데요. 잘 건조된 장작이 아니라 직접 자른 생목의 경우 송진이 타면서 엄청난 재를 발생시킵니다. 물론 잘마른 참나무를 사용한다면 그런 문제는 덜 하겠지만, 비용을 아낄려고 이것저것 태우다 보면 피해갈 수 없는 문제입니다.
이렇게 전원주택을 위한 화목보일러,화목난로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보일러 선택시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동택배 배송조회 및 요금안내 (0) | 2015.09.12 |
---|---|
Sm5 스마트키 배터리 교체 방법 (0) | 2015.09.08 |
탐앤탐스 할인카드 정보를 알려드려요 (0) | 2015.08.24 |
국민연금 궁금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 2015.08.22 |
정부보조금지원(시간선택제, 기간제 무기계약직 채용및 정규직전환) (0) | 2015.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