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4대보험요율표, 4대보험 간편계산기
지역가입자 보험료 부과점수당 한계 205.3원2022년 208.4원2023년 장기요양보험료율 건강보험료의 0.85772022년 0.90822023년 장기요양보험료율 산정 전략 변경 2023년 1월 보험료부터 적용현행 장기요양보험료 건강보험료 times 장기요양보험료율12.81 개정 장기요양보험료 건강보험료 times 장기요양보험료율0.9082 건강보험료율7.09 장기요양보험료율0.9082 장기요양보험료율12.81 times 건강보험료율7.09 2023년 1월부터 2022년 귀속 연금소득액이 적용됩니다.

우선지원대상기업
제조업 500명 이하 건설업, 운수 및 창고업 300명 이하 도, 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 등 200명 이하 그 밖의 업종 100명 이하 산재보험이란 근로자가 업무와 관련해 질병, 부상, 사망 등의 재해를 입은 경우 이를 신속하고 정의롭게 보상하기 위해 사업주가 가입하는 보험을 말합니다. 2023년도 기업 종류별 산재보험료율과 사업종류예시를 확실히 알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로 들어가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산재보험은 근로자는 부담하지 않고, 사업주만 부담하는 보험입니다. 2023년 1월 1일부터 시행되며, 유효기간은 2023년 12월 31일까지입니다. 출퇴근하는 중 발생한 재해에 관한 산재보험료율은 전 업종 1.0/1000로 동일합니다.
고용보험 계산
고용보험은 실업급여와 고용안정, 직업능역 개발사업으로 구분됩니다. 이중에서 근로자는 구직 수당 부담액만 내면 됩니다. 고용보험 실업급여요율은 1.8인데, 이중 근로자는 0.9를 부담하게 됩니다. 간편 계산기에 300만 원을 입력하고 계산하면, 근로자 부담액은 27,000원으로 계산됩니다.
경여자 부담액은 구직 수당 부담액에 고용안정, 직업힘든상황 개발기업 부담금이 추가되어 34,500원입니다.
고용안정, 직업힘든상황 개발사업은 고용한 인원에 따라 보험료율이 달라지니 계산하기 전에 근로자 수를 확인해서 계산해야 합니다.
연금 계산
연금 보험료율은 2022년과 2023년과 동일하게 9입니다. 근로자가 4.5, 사업주가 4.5를 부담하는데, 300만 원을 기준으로 납부금액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월 급여를 300만 원으로 해서 계산하면, 근로자 부담금은 13만 5천으로 계산됩니다. 연금보험료는 근로자 월 급여 중에 4.5를 부담하는데, 4대 보험 중 부담금액이 가장 큽니다.
기준 소득월액은 소득월액(월급)에서 천 원 미만을 절삭한 금액으로, 최저는 32만 원, 최고는 503만 원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건강보험 계산
2023년 건강보험료를 계산해 보겠습니다. 2022년 건강보험료율은 6.99이었는데, 2023년에 7,09로 인상되었습니다. 장기요양보험료 보험료율도 2021년 12.27에서 2022년 12.81로 인상되었습니다. 건강보험료와 장기요양보험료는 근로자와 사업자가 50씩 부담해야 합니다. 건강보험료는 보수월액월급을 기준으로, 장기보험료는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간편계산기에 월 급여를 300만 원으로 입력하고 계산해 보겠습니다.
2023년 건강보험료 근로자 부담액은 106,350원이고, 장기요양보험료는 13,620원입니다.
2022년 산재보험요율
2022년 4대 보험요율 네 번째 산재보험은 사업장에서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보험입니다. 산재보험은 근로자가 일을 하다가 다치거나, 질병에 노출되었을 때를 대비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인데, 다쳤을 때 요양급여, 휴업급여를 청구할 수 있고, 재해 상태가 더 중대하면 장해급여를 청구할 수 있고, 사망 시에는 유족급여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산재보험은 업종별 보험요율을 세분화해서 12월 31일경에 고시해서 적용하게 됩니다.
2023년 4대 보험료 부담 인상 확정
참고로 2023년 건강보험료 요율과 장기요양보험 요율이 인상이 확정되어 내년 1월 1일부터는 건강보험요율 7.09 요양보험요율 12.81로 조정됩니다. 따라서 보험료 부담은 이번 해 보다. 더욱 가중될 전망입니다. 정부기관에서는 역대 최저 인상률이라고 하지만. 어차피 소득액이 오르면 오른만큼 추가 부담하는 마당에 추가 부담이라니. 게다가 건강보험이 오르면 요양보험료도 자동으로 오르지만 요양보험료 마저도 올리니 보험료 부담은 갈 수록 크게 느껴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외에도 연금 기금의 고갈문제로 연금 보험료의 경우 상한액을 매번 상향조지정해서 있는데, 이 역시 내년에도 이어진다면 월평균 554만원 이상 지급 받는 경우 연금 부담이 더욱 커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우선지원대상기업
제조업 500명 이하 건설업, 운수 및 창고업 300명 이하 도, 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 등 200명 이하 그 밖의 업종 100명 이하 산재보험이란 근로자가 업무와 관련해 질병, 부상, 사망 등의 재해를 입은 경우 이를 신속하고 정의롭게 보상하기 위해 사업주가 가입하는 보험을 말합니다 더 알고싶으시면 본문을 클릭해주세요.
고용보험 계산
고용보험은 실업급여와 고용안정, 직업능역 개발사업으로 구분됩니다 궁금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고용보험 계산
연금 보험료율은 2022년과 2023년과 동일하게 9입니다 궁금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